[청년희망적금 가입 조건과 이자 가장 높은 은행]
정부에서는 저소득층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 “청년희망적금”을 2월 21일부터 출시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연 9%대의 이자를 제공하기 때문에 출시 전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적금을 들기 위해서는 자격조건 등이 조금 까다롭습니다.
오늘은 “청년희망적금”이 어떤 것이고 자격조건을 사전에 알 수 있는 방법, 가입할 수 있는 은행 등이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입 대상
① 만 19세~34세 청년으로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에서 제외
② 2021년 1월 ~12월까지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
직전 과세기간(2021년 1월 ~ 12월)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까지는 전전 연도(2020년 1월 ~ 12월) 소득으로 개인소득 요건 및 가입 여부 판단.
청년희망적음은 미리 보기를 통해서 자신이 가입 조건이 된 것을 확인하고 가입하고 나서 소득이 가입 조건을 넘어도 자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적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가입여부 미리 확인하는 방법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가입 가능 여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11개의 시중은행의 앱을 통해서 오전 10시~22시까지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앱을 다운로드하여서 안내에 따라 미리 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마다 별도 우대금리 조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11개 시중은행에서 자신에게 가장 좋은 은행이 어떤 곳인지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만약 11개 시중은행 앱을 통해서 “미리보기 서비스”로 알아본 사람은 “청년희망적금”이 정식 출시되면 은행에 다시 가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가입할 수 있고 1인 1계좌만 개설할 수 있습니다.
가입 전에 꼭 “미리 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가입 유무 확인이 필수입니다.
3, 가입할 수 있는 11개 시중 은행
KB국민, 하나, 신한, 우리, NH농협, IBK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 각 앱을 통해서 가입 가격을 조회할 수 있는 “미리 보기” 서비스를 통해서 신청할 수 있고 2~3일 이내에 신청 은행에서 가입 가능 여부를 알려줍니다. 단, SC제일은행은 6월부터 출시할 예정
2월 21일 ~ 25일까지 많은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5부제로 운영하게 됩니다.
※청년희망적금 5부제
2월 21일(월) - 1991년, 1996년, 2001년 생
2월 22일(화) - 1987년, 1992년, 1997년, 2002년 생
2월 23일(수) - 1988년, 1993년, 1998년, 2003년 생
2월 24일(목) - 1989년, 1994년, 1999년 생
2월 25일(금) - 190년, 1995년, 2000년 생
4, 한도
월 5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 1년(50만원씩) 납부 - 연간 최대 600만 원 납입 : 2% 이자로 12만 원 적입
▶ 2년(50만 원씩) 납부 – 1년 형(600만 원에 대한 2% 이자) + 2년 형(600만 원에 대한 4% 이자) = 36만 원 적립
즉, 2년 동안 매월 50만 원씩 납부한 경우 원금 1,200만 원에 이자가 36만 원을 받을 수 있고 이자에 대한 소득세와 농어촌특별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적금입니다.
이렇게 2년 동안 36만 원의 이자를 받는다면 너무 적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는데 이자 36만 원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이자(4%)이고 여기에 시중 은행 이자까지 더해져 최대 9%로까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 은행 제공금리 연 5% 일 경우
매달 50만 원씩 2년 동안 총 1200만 원을 납입하면 은행이자 625,000원에 저축 장려금 36만 원을 포함해서 총 12,985,000원으로 985,000원을 이자로 받게 되는 것입니다.
(※ 이자소득세 14%와 농어촌특별세 1.4% 도 과세 되지 않습니다.)
5, 11개 시중 은행 중에서 금리 가장 놓은 은행 알아보기
현재 각 은행에서 제사하는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 최고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은 연 6%(기본금리 연 5% + 우대금리 연 1%)를 제공하고 있는 국민, 농협, 신한은행입니다.
그리고 기업은행은 연 5.9%/ 하나, 우리은행은 연 5.7%/ 대구, 부산, 제주은행은 연 5.5%/ 제주, 광주은행은 연 5.2%를 제공합니다. (경남은행은 2월 28일, SC제일은행은 6월에 해당 상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정부에서 총 456억 원을 투입하는데 이 금액이 모두 소진되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6, 청년희망적금 가입 제한
(1)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다고 해도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불가능한 경우 가입할 수 없습니다.(무직인 경우 소득 조회를 할 수 없어 가입할 수 없음)
(2) 고등, 대학, 대학원생의 경우 가입할 수 없지만 휴학생이거나 졸업예정자, 사이버대학교 또는 방송통신대 재학생은 가입이 가능합니다.
(3)직전 3개년도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인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현재 시중 11개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각 은행의 앱을 통해서 미리 가입 확인을 하고 가입 가능한 경우 2월 21일부터 가입절차를 통해서 가입하면 됩니다.
만기는 2년으로 총 1,200만 원을 납입한 경우 36만 원의 이자와 함께 각 시중 은행에서 지급하는 이율로 최종 금리가 정해지게 됩니다. 가입 가능한 분들은 11개 시중 은행에서 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에 가입하면 됩니다.
'은행,보험,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정부 지원금 청년희망적금 갈아타기 재가입 여부 (0) | 2022.04.01 |
---|---|
국민연금 노령연금 연기연금제도 조기노령연금 수급율 연금 수령액 비교 (0) | 2022.03.22 |
장병내일준비적금 대리인 신청 가입 방법, 가입 제외 대상, 3대1 매칭 지원금 계산법 (0) | 2022.02.23 |
청년희망적금 신청 가격과 가입 여부 이자 금리 확인방법 (0) | 2022.02.08 |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방법(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방법) (0) | 2022.02.06 |
댓글